[더스타트 = 정아라 기자] 특허청은 서울시 중구 은행회관에서 지난 18일, 발명자 및 창작자의 사기 진작과 범국민적 발명 분위기 확산을 위해 매년 추진하고 있는 「특허기술상 시상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 |
▲ 특허기술상 시상식을 주관하는 김용래 특허청장과 각 기업대표들이 화상 회의 앱을 통해 참가하고 있다. (사진출처=특허청) |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비대면으로 진행된 이번 시상식에 12명의 수상자는 자택 및 직장에서 상을 받았으며, ‘특허기술상’에서 최고의 영예를 자랑하는 「세종대왕상」 은 윤희섭 ㈜에스오에스랩 이사와 정일호 ㈜부강테크 대표이사가 수상했다.
*‘특허기술상’은 반기별로 세종대왕상, 충무공상, 지석영상(2점), 홍대용상(2점), 정약용상(디자인)을 선정한다.
- 상반기 ‘세종대왕상’ 수상 : 3D 고정형 라이다를 개발한 ㈜에스오에스랩
상반기 기준 ‘세종대왕상’을 수상한 ㈜에스오에스랩은 ‘3D 고정형 라이다’를 국내에서 유일하게 개발하고 있는 스타트업으로, 국내 기업 중 기술력이 가장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추진하는 글로벌 협력 R&D 사업 중 ‘자율주행 차량용 고정형 센서 개발’ 과제의 공동 개발자로 참여하고 있다.
![]() |
▲ 3D 고정형 라이다로, 이미 자율주행형 스마트 모빌리티를 구현한 (주)에스오에스랩의 아이템 (사진출처=SOS랩) |
또한, 이번에 선정된 특허는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고 장거리 측정 및 고해상도 구현에 유리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자율주행차’에 적합한 라이다라는 높은 평가를 받았고 ▲로봇, ▲드론 등에 적용되는 장치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에 따라 향후 관련 산업 성장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하반기 ‘세종대왕상’ 수상 : 미생물을 활용한 차세대 하·폐수 처리 기업 ㈜부강테크
하반기 기준 ‘세종대왕상’을 수상한 ㈜부강테크는 수처리 전문기업으로 미생물 ‘아나목스(Anammox)’를 이용해 하수처리에 드는 산소를 최소화하고 외부탄소원을 투입하지 않아도 폐수 내 질소를 제거하는 아이템을 보유하고 있어, 종래기술 대비 △산소공급량 65%, △외부탄소원 투입 100%, △폐기물 생산량 80%, △소요부지 70% 감소 등의 여과 및 유지관리 비용을 ▲최대 80%까지 절감할 수 있는 하·폐수 처리 분야의 차세대 핵심 기술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 |
▲ (주)부경테크의 차세대 수처리 시설은 산업 뿐만 아니라 환경보호에 큰 이바지를 하고 있다. (사진출처=부경테크) |
- 충무공상, 지석영상, 홍대용상, 정약용상 등 나머지 수상의 영예는 누가?
상반기 ‘충무공상’을 수상한 김형환 ㈜SK하이닉스 부사장은 ‘소자 분리막 이원화 반도체 장치 특허’로, 하반기는 황윤균 ㈜아모레퍼시픽 책임연구원이 ‘비타민C 효능을 유지하는 조성물 특허’로 수상했다.
상반기 ‘지석영상’은 김영식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과 이상학 ㈜멕아이씨에스 이사가, 하반기는 김종찬 ㈜파인디앤씨 대표이사와 이정호 ㈜큐레아큐브 대표이사가 수상했다.
상반기 ‘홍대용상’은 유동근 ㈜루닛 이사가, 하반기는 이선근 ㈜에스지디자인 대표이사 및 하정훈 ㈜레티널 최고기술경영자가 공동 수상했다.
그 외, 디자인 분야에 수여되는 ‘정약용상’은 강범규 ㈜프리젠트 대표이사가 수상했다.
특허기술상 시상식에 직접 참여한 김용래 특허청장은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우리 사회 전반에 혁신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데, 우리나라가 디지털 경제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서는 발명자의 역할이 중요하다.”라며, “발명자를 우대하는 환경 조성과 발명을 효과적으로 보호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전했다.
![]() |
▲ 각 시상과 부합하는 포상과 수상마크를 순차적으로 정리했다. (사진출처=특허청) |
아울러, 수상 발명의 사업화 및 마케팅에 도움을 주기 위해 ‘특허기술상 수상 마크’를 부여할 계획이다.
![]() |
▲ 각 분야에 해당하는 특허기술상 CI 는 그 마크에 다양한 의미와 상징을 내포하고 있다. (사진출처=특허청) |
한편, 올해부터 마련된 ‘특허기술상’은 총 345건이 신청돼 29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으며 수상자에게는 소정의 상금과 함께 발명 장려사업 지원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창업 맞춤형 사업화 지원사업’에 참여할 때 우대혜택을 제공한다.
[ⓒ 더 스타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