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가 걸어온 길과 근본 원칙적 사고의 중요성
▲ 10월 중 방영하는 "스타트업" 드라마의 티저 동영상이다. (사진출처 = tvN 유튜브) |
[더스타트 = 윤상학 기자] 케이블 방송국 'tvN' 에서 10월부터 방영하는 <스타트업>이 시청자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대한민국의 실리콘밸리 ‘샌드박스’에서 성공을 꿈꾸며 '스타트업'에 뛰어든 청춘들의 시작(START)과 성장(UP)을 담은 드라마이다. ‘스타트업(Start-Up)’이란, 혁신적인 기술과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우리 일상의 문제 및 불편한 점을 해소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고 기존에 시도한 적이 없는 새로운 솔루션을 제안해야 한다는 점에서 실패의 위험도 크지만 도전에 성공하는 경우 높은 보상을 기대할 수도 있다. 그렇다면, 성공적인 도전이란 과연 무엇일까? 본지는, ‘테슬라’의 초기 투자자이자 도전의 아이콘으로 유명한 <일론 머스크>의 성공적인 도전 원칙 4가지를 분석하고 직조해봤다. [편집자 주] .
세계적 전기 자동차 기업 ‘테슬라’의 초기 투자자이면서 CEO, 민간 우주기업 와 'PayPal’의 전신이 된 온라인 결제 서비스의 창업주이면서 태양 에너지 특화 서비스 <솔라시티> 회장으로 유명한 ‘일론 리브 머스크’는 굉장히 미래 지향적인 인물이다.
그의 저서, “미래의 설계자”에서는 스스로를 어떤 분야에서 특출한 재능도 없고 집안 자체도 유복하지 않았기에 일반인도 흉내 낼 수 있는 후천적인 노력과 독자적인 자기계발과 원칙만으로 살아온 사람이라고 했다. 그가 지켜온 원칙은 무엇일까?
![]() |
▲ '일론 머스크'의 저서 <미래의 설계자>는 베스트 셀러로 등극했다. (사진출처 = YES24) |
- 생각을 계획으로 끝내지 말고, 실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 아이디어 구체화
그가 시작한 첫 사업 ‘Zip2'는 인터넷 보급이 지금처럼 일상화 되지 않던 시절이라 생각보다 실적이 좋지 않았고 같이 사업을 했던 친동생조차 그만하자는 권유까지 할 정도였다.
![]() |
▲ 20대 시절 '일론 머스크' 집에서 만든 작은 사무실이지만 환하게 웃고 있다. (사진출처=네이버카페 '미핑캠퍼스') |
애당초, 그가 잘 모르는 분야에 도전한 것이기 때문에 성공 가능성이 희박했지만 현재 가지고 있는 능력이나 상황에 크게 연연하지 않고 전체적인 큰 그림을 보고 사업에 뛰어들었다고 한다. 즉, 가지고 있는 생각을 구체적으로 시도하는 횟수가 성공의 지름길인 셈이다.
어떠한 것이든 부딪혀보고 그 때마다 부족한 부분을 경험과 학습을 거듭하면서 열악한 환경 속에서 밤낮을 가리지 않고 열심히 일한 결과, 1999년 ‘Zip2'는 컴퓨터 회사 이 3,000억 원이 넘는 가격에 매각이 되었다.
- 미개척 시장에 대한 탐구와 도전은 새로운 판로를 형성하는 지름길이 된다. : 경쟁하지 않는다.
그는 개척이 되지 않은 시장은 아직 많다는 주장을 아직도 하고 있다. 처음, 인터넷 사업부터 전기 자동차까지 어느 순간까지는 없었던 것이기에 창업가들은 수익화 현실 가능성보다 리스크를 더 크게 보는 경우가 많다.
![]() |
▲ 민간 우주 스타트업 "SPACE - X" 도 누구도 시도하지 못했던 시장이다. (사진출처=네이버카페 미핑캠퍼스) |
하지만, ‘일론 머스크’는 남들이 생각하지 못하고 경쟁 자체가 불가능한 새로운 시장을 자신이 최초 실패한 사람이 되는 한이 있더라도 도전했고 그 결과 어떤 분야를 독점하는 구조의 시장 경제를 조성할 수 있었다.
- 일할 때는 즐기면서 열심히! 놀 때는 즐기면서 논다! : 매사를 즐긴다.
![]() |
▲ 평소에도 익살스럽고 장난스러운 성격에 매사에 늘 긍정적이라고 한다. (사진출처=네이버블로그 미핑캠퍼스) |
“천재는 노력하는 사람을 이기지 못하고, 노력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을 이길 수 없다.”라는 말처럼 그는 누구보다 열심히 일할 때는 일하는 것을 즐기고, 쉴 때는 쉬는 것을 즐겨야 한다고 주장한다.
![]() |
▲ 업무 외 시간은 자기계발과 노는걸 한다. 그는 춤추는 것을 정말 좋아한다. (사진출처=네이버카페 미핑캠퍼스) |
일할 때는 하고, 놀 때는 놀면 수고한 나에게 충분히 보상하는 원리가 되므로 또 다른 동기부여를 제공하는 발판이 된다는 것이다. 즉, 자신에 대한 휴식 부여와 즐거움이 업무에게도 좋은 영향을 주어 선순환 구조가 된다는 뜻이다.
- 기존의 방식보다 새로운 방식을 적용해서, 근본 원칙적 사고를 지향한다.
그는, 해결 불가능한 문제는 <근본 원칙적 사고(First Principles Thinking)>로 접근하라고 추천한다. 즉,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하는 비유에 의한 추론이 아닌, 기본적인 원칙과 사실에 기반을 둔 추론이 중점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 |
▲ 생각, 문제, 해결은 사실 동일선상이 있는 개념이다. (사진출처 = 위시켓 블로그) |
주어진 문제나 상황에서 이미 안다고생각하는 모든 가정에 대해 적극적으로 의문을 가지는 연습을 한다면 새로운 지식과 해법을 창출할 수 있다. 근본 원칙적 사고방식 3단계는 먼저, 현재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가정을 정의하고 근본적인 원리로 세분화를 한 다음 새로운 해결책을 다양한 접근 방법으로 다시 만들면 된다.
'일론 머스크'의 아내 저스틴은 "스스로 원하는 일에 대해서 치열하게 실행한다. 발전의 흐름을 제대로 간파하기 어렵지만 충분한 시간을 준다면 반드시 눈 앞에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그것이 일론의 세계이며 우리는 그 세계 속에 살아간다." 며 스타트업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그의 창업 정신은 좋은 사례로 손꼽힐 것이라 덧붙였다.
[ⓒ 더 스타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