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포럼 단체 사진<사진제공=이화여대 일반대학원 사회적경제협동과정> |
올해 5회째를 맞는 이번 포럼은 지난 1년간 사회적경제협동과정의 성과를 집결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 |
▲ 김은미 이화여대 총장 |
![]() |
▲ 정현곤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장 |
이번 행사에서 첫 세션은 중앙사회서비스원에서 기획한 ‘사회서비스 혁신 생태계 조성과 사회적경제’를 주제로 조상미 중앙사회서비스원의 초대 원장이 <복지국가 방향과 사회서비스 혁신: 사회적경제 역할>로 기조발제했다.
![]() |
▲ 조상미 중앙사회서비스원 초대 원장 |
![]() |
▲ 오단이 강남대학교수 |
![]() |
▲ 이재은 중앙사회서비스원 사회서비스혁신기반부 과장 |
![]() |
▲ 홍진주 마포구고용복지지원센터장 |
이어, 정책사례발표에서 이재은 중앙사회서비스원 사회서비스혁신기반부 과장은 <사회서비스 분야 사회적경제 육성지원 사례>와 홍진주 마포구고용복지지원센터장의 <사회적경제 주체간 컨소시엄을 통한 지역기반 사회서비스 혁신> 현장사례발표가 이어졌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사)유쾌한반란이 함께 기획한 세션으로 소셜벤처, 기업, 공공기관 각 현장에서의 ESG 사례에 대한 발표가 이어졌다.
박새아 상임이사의 (사)유쾌한반란의 소개를 시작으로 ‘E(Environment)’ 부문에서 자동차 시트 등을 소재로 가방을 만드는 업사이클링 브랜드 ’모어댄‘의 최이현 대표가 주제로 강연에 나섰다.
![]() |
▲ 최이현 모어댄 대표 |
![]() |
▲ 선석근 ‘신한금융희망재단’ PO |
![]() |
▲ 유훈 경기도사회적경제원장 |
세 번째 세션에서는 지난해 사회적경제협동과정에서 배출한 박사들의 논문 발표로 진행됐다. 간기현 박사의 ‘사회적기업 성과는 지역발전에 영향을 미치는가?: 사회적기업가 정신, 재정지원, 거버넌스와의 구조적 관계를 중심으로’, 조정화 박사가 ‘사회적경제 중간지원조직의 거버넌스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진성리더십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란 주제로 발표했다.
또한 유수형 박사가 ‘조직협력이 통합돌봄서비스 종사자의 서비스질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의사소통, 신뢰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함희경 박사가 ‘한국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sustaninability)에 관한 연구: 영업이익의 지속성을 중심으로’, 홍미나 박사가 ‘사회적경제 참여의 영향요인: 사회적 자본의 유형과 지역요인의 상호작용’ 제목으로 연구성과를 공유했다.
이번 행사에선 지난해 이화 사회적경제 창업경진대회 수상팀의 다양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발표도 준비되어 많은 현장 관계자들의 관심을 받았다.
코로나19 이후, 처음으로 온·오프라인 동시 진행된 이번 포럼은 200여 명의 현장 참석자와 1,000여명의 청중들이 유튜브 실시간 중계로 참여하며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 |
▲ 최유미 교수('제5회 소셜 임팩트 포럼' 딘징) |
이번 행사에는 사단법인 유쾌한반란과 교내 사회적경제협동과정 Frontier 10-10 사업단, 사회복지학과 4단계 BK21 교육연구단, 기후·환경변화예측연구센터, 창업지원단, 에코과학연구소 등 다양한 기관이 협조했다.
또한, 중앙사회서비스원,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열매나눔재단, AVPN, 마포구고용복지지원센터, 모어댄, MYSC, 더브릿지, 사회적협동조합 드림셰어링,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서울특별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 등이 에코파트너로 함께 했다.
한편, 이화여대 사회적경제협동과정은 일반대학원에 개설된 국내 최초 사회적경제 석·박사 과정이며 2017년 2학기에 문을 열었다. 이화여대 16개 학과(건축학, 경영학, 경제학, 기후에너지시스템공학, 법학, 북한학, 사회학, 사회복지학, 소비자학, 에코크리에이티브협동과정, 융합보건학, 디자인학, 융합보건학, 특수교육학, 행정학 등)와 기업가센터가 연계해 협동과정에 참여하고 있다.
아울러 융합형 교과목 제공, 국내외 해외탐방, 창업경진대회, ‘이화 사회적경제 리뷰’ 발간 및 ‘소셜임팩트포럼’ 개최 등을 통해 이론과 현장을 연결하는 다양한 시도들을 해오고 있다.
[ⓒ 더 스타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