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호 도시재생 혁신지구 ‘고양 성사사업’ 본격적으로 추진

스토리 / 윤상학 / 2020-12-27 18:27:03
  • 카카오톡 보내기
‘19.12월 사업 선정 후 1년만에 시행계획인가 등 사업 신속화
2,813 억 투입 공공주도 도시재생리츠 방식…24년 지역복합거점으로 조성 -

 

[더스타트 = 윤상학 기자] 국토교통부는 고양시 및 한국토지주택공사와 공동으로 지난 18일, 고양 성사 「도시재생 혁신지구사업 시행계획인가」 를 완료하여 향후 착공 등의 절차가 본격적으로 성사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사업절차) 지구 지정 → 시행계획인가 → 착공 → 준공

위 내용이 ’19년 12월에 도시재생 혁신지구 국가시범지구 제1호 사업으로 선정된 이래로, 약 1년 만에 ‘시행계획인가’를 받은 것으로 ‘24년까지 사업 준공을 통해 고양 원당역 일원에 지역복합거점을 조성할 계획이다.

 

▲ '도시재생 혁신지구'의 사업 계획도는 지역 거점을 신속하게 조송하기 위한 사업이다. (사진출처=국토부) 


’도시재생 혁신지구‘는 공공 주도로 쇠퇴지역 내, 주거·상업·산업 행정 등의 기능이 집적된 지역복합거점을 조성하는 지구 단위 개발사업으로 통합심의를 통한 ▲신속한 절차, ▲국비(최대 250억 원) 및 기금 등의 재정지원 등을 통해 지역거점을 신속하게 조성하기 위해 ‘19년에 새롭게 도입(’19.11.28 도시재생법 개정)한 재생사업이다.
*도시재생 혁신지구 통합심의 실무위원회(‘20.7 구성)에서 건축·교통·경관·재해·도시군계획 사항 등을 통합 심의하여 사업절차 단축 가능 

 

▲ 고양 성사 도시재생 혁신지구 사업은 공동주택, 업무시설 그리고 생활 SOC 의 내역이다. (사진출처=국토부)


’19년 12월에 ‘제1호 국가시범지구’로 ▲고양 성사, ▲서울 용산, ▲충남 천안, ▲경북 구미 등의 총 4곳을 선정한 바 있으며, 이 중 ‘고양 성사’ 사업은 연내 시행계획인가를 완료하는 등 사업성과가 가장 빠른 속도로 구체화가 진행되고 있다.

 

▲  최종적으로 완성되는 '고양 성사 사업'의 완성조감도가 화려하다. (사진출처=국토부)


‘고양 성사 사업’은 총사업비 2,813억 원 규모로 공공 주도의 도시재생 리츠 사업으로 추진되며, ▲고양시, ▲주택도시기금, ▲고양 도시관리공사가 출자*하고, 한국토지주택공사가 리츠의 자산관리회사(AMC)로 사업을 기획·운영하게 된다.
*고양시 502억(현물출자), 주택도시기금 523억, 고양 도시공사 1억 등 총 1,026억 출자 

 

▲  원당역 근처가 바로 대상지이며, 성사1주민센터와 환승주차장이 즐비하고 있다. (사진출처=국토부)


본 사업은 ‘19년 12월 사업 선정 이후 ‘20년 4월부터 현상설계를 진행하였으며, 도시재생 혁신지구 통합심의 실무위원회에서 건축·교통·재해·경관 사항에 대한 △통합심의를 완료(10월 15일)하였고, △지구 지정변경 승인(11월 2일), △리츠 영업인가(11월 27일), △시공사 선정(12월 3일), △시행계획인가 승인(12월 18일) 등 사업 착공에 필요한 준비를 마쳤으며, ‘24년까지 지역복합거점을 조성할 계획이다.

고양 성사 도시재생 혁신지구 사업은 친환경 뉴딜에 부합하는 ▲에너지효율 1등급 이상, ▲녹색건축인증,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 인증) 기준을 적용하게 된다.

또한, 지역에 부족한 산업·일자리 기반 조성을 위해 전체 연 면적(99,836㎡) 중 약 27% 수준의 26,662㎡ 에 기업(산업)지원 시설*을 성라공원 등의 조망이 우수한 동남쪽 우측에 배치하여 쾌적한 기업입주 환경을 조성할 예정이며 ▲건물식 공영주차장 360면, ▲부설주차장 500면과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한 ▲근생‧판매시설 14,442㎡, ▲공공행정·생활 SOC 15,594㎡, ▲청년 및 신혼부부 등을 위한 소형 임대·분양주택 218가구 등도 공급될 예정이다.
*고양시의 지역특화산업 육성 및 민간창업 지원을 위해 저리의 임대료로 시설 제공

김동익 국토교통부 도시재생경제과장은 “고양 성사 사업이 성공적으로 시행되어 기업 및 창업 인재가 모이고, 지역 시민들이 편하게 이용하는 지역거점으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한다.”라고 밝히며, “용산, 천안, 구미 등 다른 도시재생 혁신지구 사업도 ‘21년까지 시행계획인가를 완료하는 등 성과를 가시화할 수 있도록 사업관리를 철저히 하여, 국민이 그 성과를 신속히 체감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 더 스타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